
지난 6월 8일부터 15일까지 6박 8일간 국무총리실에서 주최하고 경희대 공공정책대학원에서 주관하는 시민사회단체 해외연수에 다녀왔다. 이번 연수는 ‘사회공헌 활성화를 위한 시민사회단체 자체 역량 강화’를 기본 방향으로 하고 해외 선진 기업의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aty) 사례를 통해 우리 사회의 CSR 활성화를 위한 시민사회단체-기업의 협력 방안을 탐구함으로써 민관산학의 협력모델을 목표로 하였다.
연수 지역은 독일(프랑크푸르트, 하이델베르그, 쾰른)과 네델란드(암스테르담, 아인트호벤), 두 개 나라 다섯 개 도시였고, 그 지역의 기업 및 정부 기관 9개를 기관을 둘러보는 일정이었다.
우리 연수단이 방문한 회사 및 기관은 독일의 세계적인 화학 기업인 BASF, 한국 무역공사(KOTRA)가 중부 유럽 지역의 무역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한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독일의 주요 민간 은행인 Deuche Bank, 독일의 유통협동조합 연합회인 REWE, 네델란드 맥주회사 Heineken, 네델란드의 기업 혁신을 지원하는 국영기관 MVO Netherlands, 세계적인 보험회사인 ING, 네델란드 국영 응용과학기술연구소(TNO), 네델란드를 거점으로 세계적인 건설 기술 컨설팅 회사인 Royal HaskoningDHV 등이었다.
이들 회사 및 기관을 통해 얻은 새로운 정보를 비롯하여 연수 과정에서 느낀 소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CSR을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는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또는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이다. 2015년 UN 총회에서 채택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¹⁾와 연관을 갖고 있는 이 지속가능성은 모든 CSR의 목표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세부적인 내용에는 환경(기후변화), 노동, 교육, 인권, 투명성 등의 내용을 기업 활동에 담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현대적 의미의 CSR은 다양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통칭하여 사회공헌 활동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CSR로 보편화되고 있다. 기업이 우리 사회의 책임 있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독일이나 네델란드의 CSR 담당자들은 그 회사의 이미지에 맞는 독특한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특히 BASF의 경우는 Social Engagement(사회적 관여)라는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기업 나름대로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업들은 사회공헌 활동을 과거의 자선(Charity, Philanthropy) 활동을 뛰어 넘어 공유가치 창조(CSV)나 사회변화를 지향하는 쪽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기업 혁신의 하나로 사회공헌 활동을 활용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셋째, 많은 기업들이 CSR 관련 부서를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과거 기업의 영업활동의 일환이나 홍보 전략 차원의 사회 공헌 활동이 아니라 전 기업의 모든 영역에서 CSR의 철학이 관철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즉 CSR이 기업 활동의 보조적인 역할이 아닌 중심적 역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점차 그런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가장 인상 깊었던 방문 기관은 네델란드의 ‘MVO(CSR) Netherlands’로 이 기관은 정부 보조로 운영되고 있지만 정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중소)기업의 혁신을 돕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청과 같은 지원 조직이지만 시장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한계)기업(예를 들어 섬유기업)의 시장 변화에 맞게 지원(패션이나 디자인 쪽으로 유도한다든가 통합 또는 융합의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기업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많은 분야의 기업들을 그룹핑하거나 기업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면서 동반 성장과 상생 발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재정을 포함하여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정부 기관이 시장에 개입하는 문제는 매우 신중해야할 일이지만 이 ‘MVO(CSR) Netherlands’는 시장의 운영 원리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기업 활동을 촉진하는 중간 지원 역할을 매우 자연스럽게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런 느낌은 기업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기업 주체들에 의해 시장 환경 변화를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기업의 기술개발과 발전을 유도하는 전략이 관철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보았다. 이 기관은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라는 원칙을 바탕으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 글 : 김전승 사무총장
1)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는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17개 목표는 ① 빈곤의 종식 ② 기아의 종식과 식량 안보 확보 ③ 건강한 삶의 보장 ④ 양질의 교육 및 평생학습의 보장 ⑤ 성평등 달성 ⑥ 위생이 보장된 식수와 지속가능한 관리 ⑦ 지속가능한 에너지 보장 ⑧ 안정적인 고용과 일자리 보장 ⑨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화 진흥 ⑩ 국가간 국가내의 불평등 완화 ⑪ 안전하고 표용적인 도시와 거주지 조성 ⑫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패턴 확립 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조치 실행 ⑭ 해양자원의 보존 ⑮ 육지 생태계 보호, 사막화 대처, 생물다양성 확보 ⑯ 평화적인 사법제도와 효과적인 거버넌스의 구축 ⑰ 이행수단 강화와 글로벌 파트너십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