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관계 개선 및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흥사단 기자회견문]
사죄와 배상을 통해 평화와 공존의 역사를 새로 쓰자
우리나라와 일본은 동아시아의 선진국으로서 평화와 인류공영에 이바지해야 할 역할이 있다.
광복 일흔다섯 번째를 맞이하는 오늘 한일관계는 어떠한가? 반목과 갈등은 더욱 증폭되었고 평화와 공존을 향한 연대와 협력의 관계는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두 이웃나라의 연대와 협력을 방해하는 것은 일방적인 가해의 역사이다. 일본이 우리나라에 저지른 강탈과 압제의 역사를 감추고 부인해서는 두 나라의 진정한 화해를 이룰 수 없다. 사실을 인정하고 진정한 사죄와 배상이 뒤따를 때 한일관계는 평화와 공존이라는 새로운 역사를 향해 발전해 나갈 수 있다.
그 가능성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강제징용된 한국인들을 위해 위령비를 세우고,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에 협력하는 등 반성하고 사죄하는 일본시민들과 1993년 ‘고노 담화’를 발표한 성찰적 정권이 한일 양국 관계개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여전히 희망의 씨앗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아베정권은 역사적으로 퇴행하고 있다. 과거 진전을 이루었던 연대와 협력을 파괴하고, 역사적 부인과 경제적 제재는 물론, 교묘한 외교 전략으로 발전적 미래관계를 좌절시키고 있다. 이러한 아베정권의 도발은 즉각 중지되어야 한다. 동아시아의 불행을 야기했던 역사를 되풀이할 수는 없다. 이에 우리는 아래의 세 가지 조치를 촉구한다.
첫째, 역사왜곡 중단하라!
일본은 독도 분쟁, 동해의 일본해 표기 등 영토 문제부터, 일본군성노예제 등 일제강점기의 범죄를 은폐하고 부인하는 것은 물론, 고대사에서 일본의 역사발전이 한반도를 앞선다고 역전시키는 역사왜곡을 일삼고 있다. 이는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고 식민지를 삼으면서 저지른 만행을 미화시키기 위한 억지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일본이 동아시아 평화에 기여하는 선진국다운 모습을 보이길 촉구한다. 이러한 성찰을 미래세대에게 교육함으로써 평화와 공존의 역사를 만들어 갈 수 있다.
둘째, 조선침략 당시의 범죄를 인정하고 밝혀라!
올해는 간도참변 100주년이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강제동원 등 일제강점기의 범죄는 모두 밝혀지지 않았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군함도에 대해서는 조선인 강제노역 등 전체 역사를 명확히 밝히라는 조치조차 이행하지 않고 있다. 당시 범죄 피해자들의 증언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일 많이 가진 일본 정부가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 정확한 진상규명을 통해 더는 과거의 잘못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 공식적으로 사죄하고 배상하라!
일본은 공식적이고 진정성 있는 사죄를 해야 한다.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은 공식적인 사죄와 진정한 역사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본정부는 배상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일본은 1965년 한일협정을 빌미로 현재까지 배상을 거부하고 있는데 이는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다. 사죄와 배상이 함께 이뤄질 때 진정한 치유와 화해가 가능해질 것이다.
위 세 가지 조치가 이행될 때 한일은 평화와 공존의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다. 동아시아 평화와 인류공영에 이바지하는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흥사단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대일행동 특별위원회’는 일본정부에 이를 촉구하고, 일본시민사회와 협력해 나갈 것이다. 8.15광복 75주년을 계기로 한일 양국의 관계가 반목과 갈등에서 평화와 공존으로 나아가기를 다시 한번 촉구한다.
2020년 8월 15일
흥사단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대일행동 특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