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년 범국민대회 행사를 마치고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정부나 민간단체 중심으로 어떤 사업을 추진할 것인가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었다. 정부는 ‘3·1운동 및 임시정부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이하 정부 위원회)’를 구성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정부위원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고 14명의 장관과 장관급 민간 위원 86명으로 소위 ‘100인위원회’를 구성하여 2018년 7월 초에 출범하였다. 민간 차원에서는 2014년부터 천도교를 중심으로 7대 종단의 대표들로 ‘3·1운동 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이하 민간 위원회)’를 구성하여 33인 민족대표 형태로 상임(공동) 대표를 구성하여 기념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민간위원회는 구성 초기 7대 종단으로 이루어진 종교인평화회의의 주요 대표와 시민사회단체 대표를 중심으로 상임(공동)대표를 구성하였지만, 천도교 중심으로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바람에 종단과 시민사회를 아우르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출발하였다. 이 민간위원회가 종단과 시민사회의 충분한 논의를 통해 구성되었다면 별도의 범국민대회 준비위원회를 꾸리지 않고 이 민간위원회 차원에서 범국민대회를 추진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정부와 민간 차원의 논의가 여러 갈래로 진행되면서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첨예하게 갈라진 보수-진보 진영을 통합하여 미래지향적인 3·1 100년 범국민대회를 추진하자는 논의가 시민사회 일각에서 추진되었다. 핵심은 7대 종단과 진보-보수 시민사회 진영, 여성계, 산업계와 노동계를 망라한 범국민대회준비위원회를 조직하는 일이었다. 그 일을 추진하는데 가장 적합한 시민사회단체로 흥사단과 YMCA전국연맹을 지정하여 범국민대회 간사 단체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시작된 ‘3·1운동 100년 범국민대회준비위원회’ 첫 회의는 2018년 11월 26일에 이루어졌다. 민간에서는 종교인 평화회의, 시민사회, 여성계 등이 참여하였고 정부위원회 관계자도 참여하여 힘을 보태주었다.
이 준비위원회가 10여 차례 회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변곡점이 있었는데 첫 번째는 7대 종단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문제였다. 우여곡절 끝에 올해 1월 초에 7대 종단의 수장들이 범국민대회 명예대회장으로 참여를 할 것을 결의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범국민대회 추진에 탄력이 붙었다. 두 번째는 정부 차원의 공식행사와 민간이 추진하는 범국민대회를 어떻게 조화롭게 진행할 것인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다. 처음에는 정부 공식행사를 3월 1일 오전 10시부터 12시에 진행하고 그 이후 범국민대회를 진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논의했는데 정부 행사가 11시로 늦춰지고 실내행사를 예상했는데 광화문광장 야외행사로 정리함에 따라 범국민대회는 처음 계획을 대폭 수정해야 했다. 결국 정부행사 무대와 장비를 사용하기로 하고 시간 조정을 하게 되어 계획의 반 정도만 추진할 수밖에 없었다. 세 번째는 범국민대회 부대 행사와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가 있었는데 요약하면 특별 이벤트로 3·1운동 100주년 기념을 자축하는 ‘떡나눔행사’가 추진되었다. 떡나눔행사는 처음에는 북한의 떡을 받아 ‘남북 평화의 떡 나눔행사’로 기획하였는데 북측의 비협조로 남한만의 떡잔치로 축소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다른 이벤트로는 ‘만북 울림’과 ‘영산줄다리기’가 논의되었고 이 행사는 이벤트를 뛰어넘어 범국민대회를 빛내준 중요한 행사가 되기도 했다. 네 번째는 범국민대회의 중요한 내용으로 ‘3·1운동 100년 범국민선언문’을 준비하였는데 이 과정을 국민참여형으로 추진하였다. 우선 선언문 초안 작성위원회를 구성하여 선언문 초안을 작성하였고 이 초안을 바탕으로 ‘100인 사회적대화’을 통해 국민참여형 선언문을 완성하여 범국민대회에서 발표할 수 있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준비위원회는 크고 작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3월 1일 오후 1시 반부터 민간 차원의 범국민대회를 진행할 수 있었다.
참고로 범국민대회 슬로건으로 ‘모두의 나라, 함께 평화’를 채택하였고 ‘나도 독립운동가’를 최소한 1만명 모집하여 참가 회비를 모금하기로 결의하였는데 ‘나도 독립운동가’로 참여한 단체 회원 및 일반 시민들이 참여하여 시민참여형 모금활동도 원활하게 추진되었다.
이번 범국민대회를 마무리하는 마지막 회의에서 나온 평가 의견을 언급함으로써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 총평
- 짧은 준비기간에도 종교계, 보수·진보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실무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범국민대회를 준비함.
(7대 종단의 참여와 관련하여 많은 시간이 투입되었으나 종단의 참여가 대회 준비에 절대적으로 공신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음)
- 개신교(한교총)의 적극적인 참여가 대회 추진의 주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노동계와 진보연대의 협력, 새마을 중앙회의
참여 등이 대회 추진의 주요한 힘이 되었음.
- 행사의 핵심 내용을 둘러 싼 고민과 남북 공동행사가 마지막까지 행사 준비의 변수가 되었으며 정부 행사가 1시간
늦춰지는 바람에 행사 준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
- 대회 선언문 초안위원회의 노력과 100인 숙의토론이 대회를 준비하는데 많은 힘이 되었음.
- 만북 행진과 영산 줄다리기 행사는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촉진하고, 전통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였음.
* 글 : 김전승(사무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