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협·흥사단 등 총리 지명 철회·자진 사퇴 요구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일제 강점과 남북 분단을 하나님의 뜻이라고 하는 등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과거 발언이 논란이 되는 가운데 시민단체들이 잇달아 총리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12일 성명을 내고 "지난 4월 서울대 강연에서 이제는 선진국 대열에 올라 위안부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아도 잘 살수 있다고 했다"고 비판했다.
정대협은 이어 "올바른 역사관이 없는 자가 사회 각 분야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총리로서의 자격을 갖췄다고 할 수 있는가"라며 "총리 지명 철회와 문 후보의 자진 사퇴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도 "세 살 어린애가 들어도 웃을 말을 한 사람을 국무총리로 뽑는 것은 절대 안된다"며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 해도 얼마나 고달프게 사는데 자기가 잘 산다고 다른사람도 잘 사는 줄 안다"고 비판했다.
역사정의실천연대와 항일독립운동가단체연합회도 이날 문 후보 집무실이 있는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제된 발언들은 일본 극우주의자들의 망언을 그대로 옮겨놓은 것"이라며 "이런 사람이 어떻게 총리가 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문 후보는 일본 식민지배가 조선민족의 탓이라거나, 게으르고 자립심이 부족한 것이 민족의 DNA라고 발언했고, 어느 날 뜻밖에 하나님께서 해방을 갖다주셨다는 등 독립운동을 부정하는 말까지 했다"고 지적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현 정권은 이해할 수 없는 수준 이하의 인사를 되풀이하고 있다"며 "인사실패는 이번 총리후보 지명에서 절정에 이르렀다"고 평했다.
흥사단은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지향점을 왜곡하는 사람은 총리 자격이 없다"고 했고, 전교조는 "식민지근대화론을 찬양하는 인사를 총리로 만들려하는것은 역사교육을 책임지는 교사로서 묵과할 수 없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더보기